본문 바로가기
제81호 2023-09-25
제80호 2023-09-18
제79호 2023-09-11
제78호 2023-09-04
제77호 2023-08-27
제76호 2023-08-21
제75호 2023-08-14
제74호 2023-08-07
제73호 2023-07-24
제72호 2023-07-17
제71호 2023-07-10
제70호 2023-07-03
제69호 2023-06-26
제68호 2023-06-19
제67호 2023-06-12
제66호 2023-06-05
제65호 2023-05-29
제64호 2023-05-22
제63호 2023-05-15
제62호 2023-05-07
제61호 2023-04-30
제60호 2023-04-24
제59호 2023-04-17
제58호 2023-04-10
제57호 2023-04-03
제56호 2023-03-27
제55호 2023-03-20
제54호 2023-03-13
제53호 2023-03-06
제52호 2023-02-27
제51호 2023-02-20
제50호 2023-02-13
제49호 2023-02-06
제48호 2023-01-30
제47호 2023-01-16
제46호 2023-01-08
제45호 2023-01-02
제44호 2022-12-25
제43호 2022-12-19
제42호 2022-12-12
제41호 2022-12-05
제40호 2022-11-28
제39호 2022-11-20
제38호 2022-11-14
제37호 2022-11-07
제36호 2022-10-31
제35호 2022-10-24
제34호 2022-10-17
제33호 2022-10-10
제32호 2022-10-04
제31호 2022-09-26
제30호 2022-09-19
제29호 2022-09-12
제28호 2022-09-05
제27호 2022-08-29
제26호 2022-08-22
제25호 2022-08-15
제24호 2022-08-08
제23호 2022-07-25
제22호 2022-07-18
제21호 2022-07-11
제20호 2022-07-04
제19호 2022-06-28
제18호 2022-06-20
제17호 2022-06-13
제16호 2022-06-07
제15호 2022-05-30
제14호 2022-05-23
제13호 2022-05-16
제12호 2022-05-09
제11호 2022-05-02
제10호 2022-04-25
제9호 2022-04-18
제8호 2022-04-11
제7호 2022-04-01
제6호 2022-03-28
제5호 2022-03-21
제4호 2022-03-14
제3호 2022-03-07
제2호 2022-02-28
제1호 2022-02-22

주니어 생글생글 제81호

추석과 세계의 명절

2023-09-25

1. 명절의 의미 돌아보기

 

어른과 아이 할 것 없이 손꼽아 기다리는 것이 명절입니다. 직장과 학교가 며칠씩 문을 닫아 편하게 쉴 수 있으니까요. 과거에 비하면 집집마다 명절을 보내는 모습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일가 친척이 한자리에 모이지 않고 가족 단위로 명절을 보내는 집도 많고, 차례를 지내지 않는 가정도 적지 않습니다. 가족 또는 친구와 여행을 가는 사람도 많죠. 각자의 사정에 맞게 다양한 모습으로 명절을 쇠는 것이지요.

 

명절 풍경은 달라졌지만 명절의 유래와 풍습을 들여다보면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천 년 전부터 척박한 자연환경에 도전하며 농사를 지어온 인류는 수확한 농산물을 손에 쥐고 감사의 축제를 벌였습니다. 같은 종교, 비슷한 문화권의 사람들끼리 음식을 나눠 먹고 함께 놀며 즐겼습니다. 명절은 여럿이 모여 웃고 즐기며 맛있는 음식을 먹는 축제, 그 자체였어요.

 

각 민족과 종교, 문화에 따라 명절에 담긴 역사와 풍속도 다양합니다. 세계 각국의 명절을 소개한 책을 찾아 읽어봐도 좋겠습니다. 명절이 단순한 휴일이 아니라 인류의 문화가 응축된 기념일이란 사실을 주니어 생글생글 독자들이 이해하게 되길 바랍니다.

 

 

2. 스포츠를 사랑한 아돌프 다슬러

 

이번 주 내 꿈은 기업가의 주인공은 운동화와 체육복 등 다양한 스포츠 용품을 만드는 아디다스의 창업자, 아돌프 다슬러입니다. 독일 태생의 다슬러는 스스로 축구 등 여러 운동을 좋아하고 직접 즐겼다고 해요. 그러다 보니 신발이 너무 쉽게 닳아 불편함을 느꼈고, 신발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운동할 때 움직임도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성공한 기업가 중에는 이렇게 자신의 관심 분야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찾아나간 사람이 많습니다. 창업 아이디어라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얘기죠. 우리 아이가 창업한다면 어떤 아이템이 좋을지 함께 얘기 나눠 보세요. 아이의 관심과 호기심을 반영한 번뜩이는 사업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면 좋겠습니다.

 

 

3. 긴 추석 연휴, 내수 활성화 효과는?

 

정부가 임시 공휴일을 지정함으로써 명절 연휴를 늘린 목적과 기대 효과를 경제 속 뉴스 톱 기사로 실었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내수 경기 활성화를 위해 여행 쿠폰을 배포하거나 명절 기간 고속도로 요금을 면제하는 등의 정책을 펴는 것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나긴 연휴가 반갑지만은 않은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올해 추석 연휴가 6일로 늘어나면서 어떤 사람들이 수혜를 입을지, 반대로 수입 감소와 손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없는지 기사 속에서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