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콘텐츠’에 관한 글을 보내왔습니다. 신나는 겨울방학을 맞이해 그동안 재미있게 읽은 책이나 흥미롭게 본 영화, 구독하는 유튜브 채널 등을 소개했네요. 무엇이 좋았고, 왜 좋았는지 설명하는 주니어 생글 기자들의 글을 함께 읽어 봅시다. 이번 방학 동안 독자 여러분 모두 자신만의 멋진 글이나 영상 등을 만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학생회장 선거와 걸그룹 노래 부르기에 도전
김소예 주니어 생글 기자 서울 계남초 3학년
저는 <잘못 뽑은 전교 회장>이라는 책을 주니어 생글생글 친구들에게 소개하고 싶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시리즈인데 우연히 도서관에서 빌려 읽게 되었습니다.
책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반장 선거라면 무조건 도전했지만 한 번도 뽑힌 적이 없는 주인공 동기가 전교 회장 선거에 도전하는 내용입니다. 동기는 당선된다면 걸그룹 ‘치얼스’를 학교 행사에 부르겠다는 공약을 내겁니다. 이 책에서 인상 깊었던 부분은 동기가 치얼스를 부르려고 팬클럽에도 가입하고, 치얼스에게 직접 전화를 거는 장면이었습니다.
만약 그런 동기가 제 옆에 있다면 힘이 되는 한마디를 꼭 해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니어 생글생글 친구들이라면 동기에게 어떤 도움을 줄 것 같은지도 궁금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열심히 노력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말도 떠올랐습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동기를 생각하면서 힘을 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아, 맞다! 친구들에게 아직 알려주지 않은 부분이 있었네요. 동기는 과연 치얼스를 초청할 수 있었을까요? 궁금하다면 책을 읽어 보세요. 뭐라고요? 싫다고요? 이 책을 읽으면 100% 후회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꼭 읽어 볼 것을 추천합니다. OST가 유명한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
윤지원 주니어 생글 기자 서울창림초 6학년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2004년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입니다. 가장 흥행한 일본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특히 이 영화의 OST(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인생의 회전목마’가 매우 유명합니다. 그래서 개봉한 지오래됐지만 오케스트라 버전과 피아노 버전 등으로 다양하게 편곡되며 지금까지 계속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평소 음악에 관심이 많은 저는 피아노 연습곡을 찾던 중 OST를 먼저 듣고 궁금해져서 영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인생의 회전목마’는 일본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히사이시 조가 작곡했습니다. 그는 이 곡외에도 ‘Summer’(기쿠지로의 여름) ‘바다가 보이는 마을’(마녀 배달부 키키)’ 같이 우리 귀에 익은 영화 음악을 작곡했습니다. 저는 2년째 피아노를 연습하고 있는데 작곡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하나의 곡을 완성도 있게 연주하기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히사이시 조는 현재 72세로 우리 할아버지 정도의 연세입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왕성하게 작곡과 연주를 하는 것을 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겨울방학에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면서 유명한 영화 음악도 함께 감상하는 건 어떨까요? 쓸모없는 도전이란 없으니까 유튜브 채널 ‘긱블(Geekble)’
신예준 주니어 생글 기자 인천먼우금초 5학년
저는 유튜브 채널 ‘긱블’을 즐겨 봅니다. 한 번쯤 들어 봤을지도 모릅니다. 제가 과학을 무척 좋아하는데, 저처럼 과학을 좋아하는 두 친구의 소개로 긱블이라는 회사와 유튜브 채널을 알게 된 뒤 자연스레 자주 보게 되었습니다.
긱블 채널에선 여러 가지 콘텐츠를 다뤄요. 특히 메이커(만드는 사람)들이 만든 물건으로 콘텐츠를 자주 제작합니다. 이과와 문과가 대결하는 내용, 기상천외한 물건을 만들거나 가져와서 시청자를 깜짝 놀라게 하는 콘텐츠, 말도 안 되는 걸 가능하게 하거나 경악할 만한 실험 등이 있습니다.
저는 이 채널의 영상 하나하나를 볼 때마다 매우 행복해집니다. 단순히 과학을 좋아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키쿠, 수드래곤, 잭키 님처럼 멋진 메이커들을 보고 있으면 큰 꿈과 희망, 기쁨이 생기고 저 자신이 즐겁고 활기차게 바뀌기 때문입니다.
이 채널에는 과학 상식을 더 재미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익한 영상이 많습니다. 저는 유익하고 재미있는, 긱(geek)하고 펀(fun)한 영상들을 가족 그리고 이 채널을 소개해 준 두 친구와 함께 보며 웃고 싶습니다. 깔끔한 몰입감의 장편소설 자기 관리의 중요성을 다룬 자기계발서
이아림 주니어 생글 기자 서울청계초 6학년
방학 첫 주에 읽은 <달러구트 꿈 백화점2>와 <부자들이 절대 하지 않는 40가지 습관>이 제일 인상 깊었다.
<달러구트 꿈 백화점2>는 이미예 작가가 지은 장편 소설로, <달러구트 꿈 백화점1>의 후속작이다. 꿈 백화점에서 일한 지 만 1년이 된 페니가 꿈 백화점의 전통에 따라 ‘민원관리국’으로 견학을 가는 내용이다.
책에서 꿈꾸는 것이 고통스럽다는 792번 손님은 “왜 저에게서 꿈까지 뺏어가려고 하시나요?”라고 민원관리국에 민원을 제기했다. 페니가 이 민원을 해결하는 과정과 단골손님을 모으기 위해 달러구트 꿈백화점에서 거대한 파자마 파티를 여는 이야기가 책에 담겼다. 나는이 책을 읽으며 다양한 감정의 깊이와 차이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 다. 깔끔한 몰입감도 좋았다.
<부자들이 절대 하지 않는 40가지 습관>은 저자가 3000명의 부자를 인터뷰해 알아낸 그들의 공통점, ‘자기 관리 능력’에 관해 집필한 책이다. 자산을 꾸준히 유지하는 ‘진짜 똑똑한 부자’는 식사는 물론 자기 관리에 철저하다. 명품이나 잘 쓰지 않는 물건을 사는 데 돈을 낭비하지 않고 업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그들은 사소한 집안일까지 꼼꼼하게 관리하며 건강을 중요시해 정기적으로 치아 검사를 받는 등 몸 관리도 소홀히 하지 않는다. 또 폭식과 폭음으로 지나치게 살찌는 일이 없도록 한다. 무엇보다 욕구에 휘둘리지 않고 ‘절대 하지 않는 일’에 대한 가치관이 명확해 그것을 매일 실천한다.
평소에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고 지나치는 자기 관리 능력이 공부와 집안일뿐만 아니라 돈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부자들이 왜 그렇게 스스로를 관리하는지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야생을 느낄 수 있는 동물 다큐멘터리
김민채 주니어 생글 기자 고양 한류초 3학년
내가 요즘 가장 즐겨보는 콘텐츠는 넷플릭스의 동물 다큐멘터리 ‘애니멀’이다. 평소에 동물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라면 누구나 재미있게 볼것이다. 이 다큐멘터리는 맹금류, 유인원, 고양잇과 등 동물을 분류해 각각의 생활 모습을 담고 있다. 동물의 습성과 생태에 대해 자세히 알수 있고, 새끼를 기르는 모습, 사냥하는 모습 등 동물들이 살아가는 생생한 현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영어로 제작되어서 영어 학습에도 도움이 되니 일석이조다. 겨울방학에 동물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 보는건 어떨까?
지난달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 10명이 서울 강남구에 있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을 찾았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자라나는 미래 세대를 위해 전 세계에서 출간·발행된 어린이·청소년 도서와 자료 76만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여러 책을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험 활동과 전시회 관람을 무료로 할 수 있다. 도서관에선 매월 ‘미꿈소(미래 꿈희망 창작소)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갖가지 현장 체험을 마련한다. 2월의 주제는 ‘공평한 교육’이다. 이 주제와 관련된 도서를 중심 으로 로봇,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확장현실(XR), 혼합현실(MR) 등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열린다. 머그잔이나 드림캐처를 만드는 비교적 간단하고 감성적인 활동부터 3D(3차원) 펜으로 만드는 동화 속 세상, 태블릿 기기를 활용한 공간 놀이, 로봇 조종 등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만한 수업이 많다. 홈페이지(www.nlcy.go.kr)에서 예약한 뒤 방문하면 된다. 주로 미취학 아동부터 초등 저학년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많다. 박주옥 관장은 “어린이와 청소년은 우리가 문화 강국과 포용 사회로 나아가는 데 주역이 될 것”이라며 “미래 세대가 지적으로 성장하고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들이 꿈을 키우고 희망을 펼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하는 도서관이 되겠다”고 말했다.by 문혜정 기자 재미있는 체험도 하고, 다양한 책도 읽고! 김소예 주니어 생글 기자 서울계남초 3학년 지난달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단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미꿈소(미래 꿈희망 창작소) 활동을 체험했습니다. 가장 먼
지난 1월 17일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 12 명이 필립 터너(Philip Turner) 주한 뉴질랜드 대사를 만나기 위해 서울 용산에 있는 대사관저를 찾았다. 대사는 나라를 대표해 다른 나라에 파견되어 일하는 최고 직급 외교관이다. ‘주한’은 한국에 머무른다는 뜻이다. 터너 대사는 한국에 살며 한국 정부는 물론이고 국민과 기업을 상대로 뉴질랜드를 알리고, 양국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날 터너 대사는 진녹색 두루마기를 곱게 차려입고 기자단을 맞았다. 초등학생부터 중학생까지 다양한 학년의 기자 중 몇 명도 한복을 입었다. 우리나라 설 명절(1월 22일)과 뉴질랜드 건국 기념일 ‘와이탕이 데이’(2월 6일)를 앞두고 가진 특별한 만남이었기 때문이다. 기자단은 “외교관이 사는 집에 처음 와 봤다”며 처음엔 긴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인터뷰가 시작되자 영어와 한국어로 저마다 준비해 온 질문을 또박또박 건넸다. 터너 대사도 기자들의 질문에 귀를 기울이며 인구 522만 명의 뉴질랜드에 관해 열심히 설명했다. 특히 뉴질랜드의 친환경 정책과 다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어릴 적 꿈을 묻자 터너 대사는 “같은 또래의 다른 나라 친구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 늘 궁금했다”며 “당시에는 인터넷이 없어 도서관으로 달려가 책을 읽곤 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외국어에도 관심이 많았는데, 외국어는 새로운 세상으로 가는 문 같았다”며 “열두 살 때 아버지가 ‘외교관이 되어 보는건 어떨까’라고 말씀하신 순간이 아직도 기억난다”고 말했다.by 문혜정 기자 뉴질랜드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 다섯 가지 신예준 주
‘쿤스트캄머(Kunstkammer)’는 16세기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2세 대공(왕자)이 진귀하고 값비싼 예술 작품과 보물을 모아 놓았던 방이다. 독일어로 Kunst는 예술, kammer는 방·저장실을 뜻한다. 예술의 방 또는 예술의 저장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은 오스트리아 티롤 지역 인스브루크의 암브라스 성에 있었다. 수집된 예술품을 본 방문객들의 눈이 휘둥그레졌을 테니 세계 최초의 박물관이었던 셈이다. 왕성한 수집가였던 페르디난트 2세뿐만 아니라 그 이전 합스부르크 가문의 대부흥 시대를 연 막시밀리안 1세, 어릴 때부터 스페인 왕실에서 자라며 예술에 조예가 깊었던 루돌프 2세의 수집품도 쿤스트캄머에 더해졌다. 펠리페 4세와 레오폴트 빌헬름 대공 등의 수집품도 마찬가지 다. 초상화, 공예품, 조각품, 갑옷 등 쿤스트캄머의 방대한 수집품은 훗날 오스트리아 빈미술사박물관으로 고스란히 옮겨졌다. 지난 1월 9일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 10명이 국립중앙박물관과 빈미술사박물관,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주최하는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 전시회에 다녀왔다. 주니어 생글 기자들은 전시장에 들어가기 전 준비된 자료를 통해 합스부르크 가문과 유럽 역사에 대해 배우고 주요 예술 작품의 특징도 미리 살펴봤다. 이후 보호자와 함께 자유롭게 관람했다. 전시장 안에서 예술 작품을 둘러보며 소곤소곤 대화하는 엄마와 주니어 생글 기자들의 모습이 보였다. 김민지 주니어 생글 기자(용인 서원초 2학년)의 엄마 최민정 씨는 “아이와 함께 대화하고 공부하면서 전시회를 둘러보니 더 재미있었다”며 “민지도 너무 좋아했다”고 말했다.by 문